매년 여름이면 장마와 국지성 폭우, 열대야로 밤을 설치는 우리에게 과연 열대야는 왜 일어나게 되는 것 일가, 불쾌지수 는 무엇 인가?

열대야는 여름밤의 최저 기온이 25도c이상의 현상을 말하는데 열대 저지대의 밤과 비슷하여 더위로 인하여 잠들기 어려워 고통스럽기 때문에 더위를 나타내는 지표가 된다.

고온 다습한 북 태평양고기압이 발달 했을 때 도시의 열섬 현상이 열대야를 유발한다.

열대야라는 말은 낮 최고 기온이 30도c 이상으로 오른 한여름의 날씨를 트로피컬 데이라 이른데서 연유한 말이다.

열대야에는 습윤한 열대 저지대의 밤 기온과 비슷하여 너무 더워서 사람이 잠들기 어렵고 고통스럽기 때문에 더위를 나타내는 지표가 된다.

우리나라에서 열대야 현상은 고온다습한 북태평양고기압이 발달하였을 때 밤에 복사냉각의 효과가 감소하여 나타난다.

즉 도시지역에는 교외지역에 비해 사람. 건물. 자동차. 공장이 많아 엄청난 인공 열이 발생하고 열을 잘 흡수하는 아스팔트 도로는 쉽게 가열되며 건조하다.

또 높은 빌딩과 같은 인공구조물이 많아지면 굴곡이 크고 표면적이 넓어. 많은 열을 흡수하게 된다.

이러한 이유로 도시지역의 기온이 주변의 교외지역보다 높게 나타나는 열 심 현상 이 일어난다.

바로 도시의 열섬현상은 도시의 열대야를 유발하게 된다.

우리나라에서 열대야현상은 연평균 서울 9일 광주 17일 대구 18일 정도로 발생한다.

일일 최고기온이 30도c이상인 한 여름밤 의 밤 동안에는 최저 기온이 25도c 이상으로 열대지방의 밤처럼 잠을 청하기 힘든 여름 밤 이 바로 열대야라고 말하는데 우리나라의 경우 대개 장마 후 고온다습한 북태평양 고기압이 발달 했을 때 나타난다.

이때쯤이면 고온다습한 북태평양 고기압이 발달하여 한낮에는 찜통더위를 몰고 올 뿐만 아니라 한밤에는 복사냉각효과(輻射冷却效果)를 감소시켜 무더위가 계속된다.

기온이 높아지면 낮 동안 지면의 물기가 태양열에 의해 달궈져 수증기로 변하고 밤 시간대에도 그대로 남아 고온다습한 날씨를 유지하게 된다.

지표면은 낮에 태양열을 받아 더워졌다가 밤이 되면 복사열 (輻 射 熱 ) 을 방출하는데 낮에 생긴 대기 중의 수증기와 이산화 탄소등 복사열을 흡수 이를 지상으로 되 돌려보냄으로서 열대야 현상이 나타나게 된다.

공기의 흐름이 원활한 해안지방보다는 대륙지방이 시골보다는 도시에서 더 자주 일어난다.

특히 녹지가 부족한 도시는 높은 인구밀도 건물 주택 냉방장치에서 나오는 폐열, 자동차와 공장이 내품는 산업열 등으로 인한 열심 현상에 의해 온도가 더 올라간다.

이런 현상이 계속 될 경우 사람들은 밤에 잠을 제대로 자지 못해 수면부족과 무력감에 시달리게 된다. 불쾌지수란 날씨에 따라서 사람이 불쾌감을 느끼는 정도를 기온과 습도를 이용하여 나타내는 수치로 불쾌지수-0.72기온+습구온도+40.6 로 계산한다.

불쾌지수가 70-75인 경우에는 약 10%. 75-80인 경우에는 약 50% 80이상인 경우에는 대부분의 사람이 불쾌감을 느낀다고 하지만 명백한 기준은 아니다.

1959년 여름 미국에서 약 300개 도시 에 처음으로 일기 예보 시에 불쾌지수를 발표했는데 사람마다 불쾌감을 느끼는 정도가 다소 다르며. 불쾌지수를 발표함으로서 불쾌감을 더욱 바꿔서 사용하기 도 한다.

특히 요즘과 같이 열대야 현상이 지속되고 있을 때 에는 듣기 좋고 상쾌한 말로 상대의 기분을 상하지 않게 하는 것 또한 불쾌지수 를 낮추는 지혜이다.

어찌 사람의 힘으로 하늘을 거역 할수 있겠는가 여름에 더운 것과 추운 것은 하늘의 뜻이라고 마음을 편하게 먹는다면 더위는 저 멀리 갈 것 이다.

마음으로부터 더위를 이기는 것 역시 힐링 이다. 최춘식
 

저작권자 © 뉴스충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